케리건 : 그곳에서 나루드의 정신을 느꼈어. 그는 아몬을... 신봉하고 있어.
케리건 : 나루드는 수천 년 동안 자신의 주인을 부활시키려고 했던 거야.
스투코프 : 그랬었군. 프로토스와 저그 사이의 끝없는 분쟁, 그리고 혼종... 다 아몬을 되살리려는 계획의 일환이었던 거야.
케리건 : 우리가 막아야 해.
상호작용 가능한 오브젝트(신경중추)
데하카
데하카 : 혼종. 정수가 강력하다. 하지만 수집할 수 없다.
케리건 : 나루드의 창조물이야. 나루드를 따르면 정수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을 것 같지 않아?
데하카 : 그가 섬기는 주인은 모든 정수를 먹어치울 것이다.
케리건 : 지금 아몬을 말하는 건가? 아몬은... 죽었어. 내가 절대 깨어나지 못하게 할 거고.
데하카 : 아몬이 살면, 정수가 모두 없어진다. 변화가 멈춘다. 나는 싸우겠다.
자가라
케리건 : 저 연구실 안엔... 나루드가 있어. 차단막으로 자신을 가리고 있지만, 여전히 그의 힘이 느껴져.
자가라 : 더 말씀해 주십시오.
케리건 : 이제껏 만난 상대와는... 차원이 달라.
자가라 : 하지만 여왕님께선 고대의 존재를 쓰러뜨리고 제루스의 모든 힘을 얻으셨습니다.
케리건 : 이건 공허에서 태어난 힘이야. 차갑고 텅 비어있지만 고통스러울 정도로 강력해.
이즈샤
이즈샤 : 연구실에서 이상한 대상들이 감지됩니다.
케리건 : 그 변신술을 쓰는 녀석과 혼종 말고 다른 대상이?
이즈샤 : 프로토스입니다, 여왕님. 그 수가 엄청납니다.
케리건 : 그래, 나도 느껴져. 탈다림.
케리건 : 놈들은 자발적으로 아몬을 따르고 숭배하지.
이즈샤 : 죽은 신을 숭배하다니요?
케리건 : 그래서 놈들이 더 위험한 거야.
스투코프
스투코프 : 나루드는 아몬같이 강력한 존재를 어떻게 되살리겠다는 거지?
케리건 : 혼종이 그 열쇠야. 혼종은 사이오닉 에너지를 모으니까.
하지만 죽은 신을 되살리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할 텐데 그 에너지는 어디서 얻지?
스투코프 : 당신. 고대 젤나가 유물을 사용해 인간으로 되돌아간 적이 있다고 했지?
스투코프 : 당신이 칼날 여왕이었을 때 휘둘렀던 그 모든 힘들이... 인간으로 돌아온 다음엔 어디로 갔을까?
케리건 : 그 말은... 혼종이 근처 어딘가에서 그 힘을 수집했고... 그걸... 사용해... 안 돼.
스투코프 : 나루드가 젤나가 유물을 그런 식으로 사용했다면... 아몬을 되살릴 에너지는 이미 충분히 모았을 거야.
상호작용 가능한 오브젝트(진화구덩이)
뮤탈리스크 진화 임무
이번 거대괴수에서는 진화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진화 임무를 마치면 뮤탈리스크를 진화시킬 수 있습니다.
무리 군주 변종
- 무리 군주로 변태 가능
- 먼 거리에서 지상 유닛 공격
- 공격 시 공생충 생성
살모사 변종
- 살모사로 변태 가능
- 유닛을 새로운 위치로 끌어당겨 1초 동안 기절시킴
- 적 지상 유닛의 속도를 늦추고 공격하지 못하게 만듦
- 아군 유닛의 체력을 흡수해 에너지 회복
- 공중 유닛 공격 가능
무리 군주와 살모사는 각각 스타1의 가디언과 디바우러의 대체 유닛으로 보입니다.
개인적으로 무리 군주가 사거리가 길어 상대할 때 굉장히 짜증났던 경험이 있고 살모사는 마법 유닛이라 제가 컨트롤을 잘 할 자신이 없기에 무리 군주를 골랐습니다.
풀영상
그럼 저는 다음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.
'게임 > 스타크래프트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5-16. 거대괴수 (0) | 2022.08.06 |
---|---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5. 이런 친구들과 함께라면... (0) | 2022.08.05 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4-15. 거대괴수(+울트라리스크 변이) (0) | 2022.08.03 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4. 공허의 환영(+시네마틱 영상 포함) (0) | 2022.07.27 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3. 어둠의 손아귀 (0) | 2022.07.25 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2-13. 거대괴수 (0) | 2022.07.22 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2. 감염 (0) | 2022.07.20 |
[스타크래프트2 군단의 심장] 11-12. 거대괴수(+히드라리스크 진화 임무, 스카이거 기지 여행) (0) | 2022.07.18 |